어제는 피곤해서 글을 안쓰고 그냥 잤다. 그래서 +6은 없고 그냥 7로 퉁~~
여행의 의미
어제 낮엔 요가원도 다녀오고 쏟아지는 빗속에서 스쿠터로 달려도보고 우붓에서 사는 재미들이 하나둘씩 늘어가고 있다. 추억도 추억이지만 이쯤에서 내게 여행은 어떤 의미였나 혹은 나에게 어떤 변화를 주고 있는가? 물어야 할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어제 집주인 가족과 저녁식사는 특별했다. 구름과 바람이라고 부르라는 집주인 내외분과 이야기 하면 할수록 나랑 비슷한 점도 많고 내가 미쳐 깨닫지 못한 부분도 알게 되고, 나도 아이를 가지면 저렇게 키워보고 싶다라는 욕심도 생긴 하루였다.
고등학생 첫째 아들과 중학생 둘째 딸, 구름과 바람은 이들을 온전한 두 인격체로서 존중하는 모습이 옅보였고, 아이들과 대화하는 모습과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아이들을 인터뷰하고 있자니 과거에 그들이 어떻게 지내왔는지 그리고 그 결실이 이렇게 성장한 아이들로 돌아오는구나를 눈으로 확인했다.
친구의 의미
남미여행중에도 비슷한 생각을 한적이 있다. 여행이 주는 장점중에 하나는 세대와 관계없이 누구나 친구가 될수 있다!. 그땐 그런 생각을 했는데 구름과 얘기를 하다보니 아… 이게 여행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가 유독 그 나이로 친구를 가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친구라는 개념에 대해 깊게 고민해본적은 없지만 우리나라는 유난히 친구의 의미를 또래로 한정하고 있는것은 맞는것 같다. 한두살만 차이나도 친구하자보다는 형이라고 불러가~ 더 자연스러우니까…
어쨌거나 이런 문화는 적어도 조선시대부터 내려온건 아닌것 같다. 오성과 한음도 5살 차이였음을 보면 또래 문화는 어쩌면 일제의 잔재 일지도 모르겠다. 어찌됐던 나이로 친구를 나누면 친구의 폭이 굉장히 작아진다. 이 얼마나 불리한 조건인가? 세상에 나와 맘맞는 친구가 몇이나 될지 아무도 모르는데 어릴때부터 그 친구의 폭을 확 줄여서 같은 학년끼리만 친구를 맺어야 한다면… 좋은건 아닌것 같다. 그런데 이런 질문을 첫째 아들에게 들었다. 이게 정말 신선하다. 이미 이 가족은 공동체 같고, 서로가 다 친구처럼 부모라는 권위를 내세우려하지 않는 모습에서 너무 행복해보였다.
문송하다
“문과라서 죄송합니다.”라는 의미란다. 어제 안 사실인데 관점에 따라 언어파괴일수도 언어의 변화라고 얘기할수도 있겠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건 내가 무슨말이지 못알아 듣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정말..이대로 나는 꼰대가 되는것인가?
뭐 꼰대가 중요한건 아니고, 문과라서 죄송할 필요도 없고, 오늘 가상화폐와 관련된 논란의 그 토론을 보고있자니, 정말이지 문과가 중요하다라는 생각을 했다. 어제 그 저녁식사도 입문학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달은 날인데, 오늘 토론도 보고 있자니 현실에서도 문과생들(유시민, 김진화)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달은 순간이다. 코드만 팔게 아니라 인문학 서적도 더 열심히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의미에서 여기 있는동안 옆지기가 들고온 책 2권을 꼭 다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