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에 의한 거지만 어찌됐든 10년만에 Ruby를 다시 배워보려고한다. 그래서 일단 맥에 루비부터 설치했다.
1. Homebrew를 이용한 루비 설치
일단 맥에는 루비가 기본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기본 설치된 버전부터 확인해보자.
$> ruby -v
ruby 2.0 ..... 어쩌구 저쩌구
내 멕에는 ruby 2.0이 설치되어 있다. 현재 최신버전은 루비 2.3.0 버전이다. 최신 맥프레임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기본 설치된 버전은 낮다 -_-;; ㅎㅎㅎ 여튼 새버전을 선호하는 개인 취향문제로 새 버전을 설치했다.
$> brew install ruby
... 설치 로그 생략
$> ruby -v
ruby 2.3.0p0 (2015-12-25 revision 53290) [x86_64-darwin15]
오예! 루비 새버전 장착 완료!! 루비로 웹개발을 할때는 보통 레일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만 지금 루비 문법과 스타일에도 익숙치 않은데 레일스를 볼 겨를이 없다. 일단 루비부터 익혀보자.
공식 언어 튜토리얼
- try Ruby – http://tryruby.org/
- 20분 가이드 – https://www.ruby-lang.org/ko/documentation/quickstart/
낮은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Homebrew를 이용해 낮은 버전으로 설치하려면 PATH 설정을 수동으로 해야한다. 홈브루 정책이 그런듯 싶다. 그래서 좀 귀찮다.
$> brew search ruby
chruby homebrew/versions/ruby182 homebrew/versions/ruby21 ruby ✔
chruby-fish homebrew/versions/ruby186 homebrew/versions/ruby22 ruby-build
homebrew/versions/imagemagick-ruby186 homebrew/versions/ruby187 imessage-ruby
ruby-install homebrew/versions/jruby168 homebrew/versions/ruby192 jruby
homebrew/versions/jruby1721 homebrew/versions/ruby193 mruby
...
현재 홈브루로 설치된 버전은 체크(✔)표시가 되어 있다. 만약 ruby 2.2 버전을 설치하고 싶다면 homebrew/versions/ruby22 버전을 설치하면된다 .
$> brew install homebrew/versions/ruby22
... 설치 로그 중략 ...
By default, binaries installed by gem will be placed into:
/usr/local/lib/ruby/gems/2.2.0/bin
You may want to add this to your PATH.
...
이전 버전을 설치하면 위 메시지처럼 PATH를 니들이 알아서 해! 라는 배째라 모드.. 아무래도 루비가 자체 패키지매니저(gem)을 가지고 있어서 의존성을 가진 모듈들이 충돌될까바 그런듯싶고,.. 여튼 귀찮아서 그냥 새버전 쓰는걸로!!
2. PostgreSQL 설치와 사용법
PostgreSQL 설치도 Homebrew를 이용하면 간단하다.
$> brew install postgresql
DB 서버를 데몬으로 항상 띄워둘수도 있지만 본인은 개발할때 수동으로 실행시키는 편이다.
$> postgres -D /usr/local/var/postgres
서버는 실행했고 이제부터가 진짜 신세계다! mysql과 mongo와는 또다른 명령체계들 때문에 삽질했다. 정리해본다.
1. 클라이언트 접속툴
postgresql은 생소한 psql이라는 명령어를 이용한다. 하기사 데이터베이스 이름 자체가 길다보니 짧은 명령어를 만든듯 싶다.
$> psql
psql: FATAL: database "realrap" does not exist
잉? 이건 뭔소리래? “realrap” 데이터베이스가 없다며 접속되지 않는다. psql은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좀 다르게 일단 접속하고 use 명령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모델이 아닌갑다. 그래서 접속할때 데이터베이스명이 필요한데 지정하지 않으면 로그인된 계정이름이 디폴트로 지정된다. 참고로 내 계정이름이 “realrap” 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전에 샘플디비(template1)로 접속부터해보자.
$> psql template1
psql (9.5.1)
Type "help" for help.
template1=#
특이하게 접속하면 template1=# 이라는 프로프트를 볼수있다. template1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했다는 의미다. 그리고 template0 이라는 샘플디비가 하나 더 있는데 진짜 있는지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확인해보자. 역슬래쉬() 소문자 엘(l)을 입력해보자.
template1=# \l
List of databases
Name | Owner | Encoding | Collate | Ctype | Access privileges
----------------+---------+----------+-------------+-------------+---------------------
postgres | realrap | UTF8 | ko_KR.UTF-8 | ko_KR.UTF-8 |
template0 | realrap | UTF8 | ko_KR.UTF-8 | ko_KR.UTF-8 | =c/realrap +
| | | | | realrap=CTc/realrap
template1 | realrap | UTF8 | ko_KR.UTF-8 | ko_KR.UTF-8 | =c/realrap +
| | | | | realrap=CTc/realrap
(3 rows)
나도 모르는 명령어가 툭툭튀어나온다. 이런 명령어는 help 명령을 이용해 알아냈다.
template1=# help
You are using psql, the command-line interface to PostgreSQL.
Type: \copyright for distribution terms
\h for help with SQL commands
\? for help with psql commands
\g or terminate with semicolon to execute query
\q to quit
나가려면 \q를 입력하고 psql 명령어를 보고 싶으면 \? 물음표를 입력하렌다. 물음표를 입력해보면 \l 명령어에 대한 설명도 볼수있다.
2. 데이터 베이스 생성
데이터 베이스 생성은 createdb 명령을 이용한다. 주의할점은 데이터베이스명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로그인 된 계정 이름으로 생성한다. 자그럼 생성해보자!
createdb <데이터베이스명>
$> createdb
$>
잉? 이건 또 뭐징? 아무런 메시지가 없다. 제대로 실행 된건가? 약간 의아한데 확인해봐야겠다. 그리고 뭔가 로그를 출력해주는 설정이 있을것 같은데 모르겠다. 일단 아까 말했던것처럼 데이터베이스명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로그인한 계정으로 만들어진다. 진짜 만들어졌는지 접속해서 확인해보자 .
$> psql realrap
psql (9.5.1)
Type "help" for help.
realrap=# \l
List of databases
Name | Owner | Encoding | Collate | Ctype | Access privileges
----------------+---------+----------+-------------+-------------+---------------------
postgres | realrap | UTF8 | ko_KR.UTF-8 | ko_KR.UTF-8 |
realrap | realrap | UTF8 | ko_KR.UTF-8 | ko_KR.UTF-8 |
....
.... 중략 ....
우잉? 진짜된다. 헐퀴.. realrap 이름으로 만든 디비는 필요 없으므로 지우자. 지우는 명령어는 dropdb 다! 일단 디비를 빠져나와서 커맨트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dropdb realrap
$> psql realrap
psql: FATAL: database "realrap" does not exist
됐다. 제대로 지워졌는지 접속이 되지 않는다. 대충 사용법을 알았으니 개발용 데이터베이스(test)와 개발용 유저(dev)를 만들어 dev 유저가 이 test 데이터베이스를 쓸수있도록 권한을 줘보자.
3. 개발용 유저 생성
일단 유저를 만든다. 만들때 –interactive 명령을 주면 좀더 상세한 권한 설정을 할수있다.
$> createuser dev
or
$> createuser dev --interactive
Shall the new role be a superuser? (y/n) n
Shall the new role be allowed to create databases? (y/n) n
Shall the new role be allowed to create more new roles? (y/n) n
상세 설정을 통해 권한을 따로 주지 않으면 유저는 기본적으로 아무런 권한이 없다.
4. 개발용 데이터베이스 생성
testDB를 만들때 -O 옵션을 주면 데이터베이스 오너를 지정할수있다. 앞에서 생성한 dev 유저가 testDB 오너가 되도록 생성한다.
$> createdb -O dev testDB
제대로 설정됐는지 로컬 계정으로 testDB에 접근해서 설정을 확인해보자.
$> psql testDB
psql (9.5.1)
Type "help" for help.
testDB=# \l
List of databases
Name | Owner | Encoding | Collate | Ctype | Access privileges
----------------+---------+----------+-------------+-------------+---------------------
... 중략 ...
testDB | dev | UTF8 | ko_KR.UTF-8 | ko_KR.UTF-8 |
... 중략 ...
testDB의 Owner가 dev로 지정되어 있다. 제대로 했다. 이제 dev 유저에 패스워드를 지정해보자.
testDB=# alter user dev with password 'devpass';
dev 계정에 ‘devpass’ 라는 비밀번호를 부여했다. 이제 빠져나와서 dev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 psql -U dev test -W
Password for user dev:
그런데 여기서 멘붕!…--;;; 패스워드가 틀려도 접속이 된다. 머징? –-;;; 좀더 공부를 해야겠다. 일단 여기까지… -_-;;
5.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지우기
멘붕에 빠져서 아까 만들었던 데이터베이스와 더불어 postgresql도 다 지워야겠다. 지우는 방법은 간단하다.
$> brew uninstall postgresql
이렇게 지우면 명령어만 지우는거고 실제로 데이터베이스를 살아있다. 그래서 다시 설치하면 기존에 만들었던 유저라든가 데이터베이스가 지저분하게 그대로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까지 지우려면 저장된 DB 파일도 지워야한다.
일단 homebrew가 어디에 DB를 두는지 확인해야한다.
$> ps aux | grep postgres | grep -- -D
realrap 46604 0.0 0.1 2603388 15392 s006 S+ 11:19AM 0:00.25 postgres -D /usr/local/var/postgres
아하! /user/local/var/postgres 폴더에 저장하는구나. 이 폴더를 날리면 DB도 깨끗이 지워진다.
6. GUI 툴을 이용해 PostgreSQL 다루기
앱스토어에가서 ‘Valentina’를 검색후 설치한다. 맥이 아는 경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http://www.valentina-db.com/en/valentina-studio-overview
백그라운드에서 postgresSQL을 떠 있다면 Valentina 앱에서 자동으로 인식한다. 커넥터 설정을 할때 유의할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인의 계정이름으로 사용자가 자동 설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후 별다른 유저나 비밀번호 설정을 안했다면 로컬 접속은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Host: localhost
Database: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이름]
User: [본인 계정 이름]
Password: *중요!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비워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