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며칠전, 텍스타일이 베타오픈을 했다.
그래서 나도 옮겨볼까 생각중..
텍스트큐브 그동안 정들었는데..
커스트마이징 하기가 영~~~ 까탈스러워서..
당췌 손을 못댔다..
텍스타일은 괜찮겠지?
한번 옮겨보고,.. 안되면.. 다시 돌아오지모~ ㅋ
바로 며칠전, 텍스타일이 베타오픈을 했다.
그래서 나도 옮겨볼까 생각중..
텍스트큐브 그동안 정들었는데..
커스트마이징 하기가 영~~~ 까탈스러워서..
당췌 손을 못댔다..
텍스타일은 괜찮겠지?
한번 옮겨보고,.. 안되면.. 다시 돌아오지모~ ㅋ
일단, 발행하기 전에 정리부터 하자..
예제는 나중에 정리하고.. 생각나는대로 써보면,..
대충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DOM 노드 캐싱
DOM을 캐싱할때는,.. 캐싱하려는 노드를 cloneNode(true)로 떠서 캐시하자..
그렇치 않으면, IE에서는 innerHTML로 해당 노드를 날렸을때,. 캐시한 노드까지 날라간다.
반면, IE외의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innerHTML로 해당 노드를 날렸을때..
해당 노드만 날라가고, 캐시한 노드는 그대로 있다.
[하나 더 주의] – cloneNode를 할 경우, 바인딩된 이벤트는 복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엘리먼트 교체를 해야할 경우엔, 이벤트 핸들러를 먼저 제거해주거나..
앞에서 얘기한 노드를 캐싱하거나..
아니면, HTML로 날릴만한 엘리먼트엔 이벤트 핸들러를 걸지말고, 그 상위 노드에 걸어서
버블링 처리를 해라~!!
3. HTML 렌더링
HTML을 innerHTML로 재할당을 할경우, 브라우저는 재할당한 부분만 랜더링을 다시하게 된다.
이때, 구식브라우저(꼬진브라우저, 느린브라우저)인 IE6에서는 랜더링 할때, 생각보다 속도가 느리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node.innerHTML = “<div>….중간생략 복잡한 디비전 태그 교체…</div>”
doSomethingHere();
doSomethingHere() 함수 안에서 새로 랜더링 되는 엘리먼트의 width나 height 등을 가지고 뭔 짓꺼리를 하게 되면,
IE6에서는 htmlfile 에러는 내뱉는다.
이유는 앞서 설명했듯이 랜더링 속도가 느려서 발생하는 문제로…
로드 된후, 실행시 까지 약간의 딜레이를 주거나,
인터벌울 돌려서 렌더링이 됐는지 체크를 한다.
난 걍 랜더링시 문제가 될경우에 한에서만 이렇게 쓴다.
el.innerHTML = sTpl;
var oInstance = this;
setTimeout(function(){
oInstance._initialize();
}, 100);
4. htmlfile 에러
그밖에 IE6혹은 IE7에서 htmlfile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다.
5. FireBug를 믿지마라!
보통 FireFox의 플러그인 인 firebug 를 이용해서 디버깅을 하게되는데, FF 는 너무나 관대(?)해서,
IE에서 뱉는 에러를 몇몇가지를 그냥 쌩까고 혹은 아~ 이건 개발자 실수니까,..스마트(?) 하게 알아서 정정해준다.
즉, FF만 믿고 개발했다가는 IE 호환성에 적신호를 받게 될것이다.
그렇다고, firebug 가 구리다는건 아니고, 간간히 중간중간 때때로, 생각날때, IE 브라우저로 테스트를 해보는 습관을 갖는게 좋겠다.
추천하는 바는 그냥 IE6 브라우저를 버리고 갔으면 한다. (그냥 개인적인 바램~ OTL… ㅜㅜ )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ㅎㅎ
비가 또 계속 오는구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