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어떻게 쓸까?

간만에 독후감 하나 쓴다.

먼저 책 표지부터 하나 박아주시고..  
이 책은 내가 요즘 블로그에 자주 글을 못쓰는 까닭을 아주 명확하게 얘기해 주고 있다.
그것은 내가 바빠서 그런것도 아니요.
글 쓰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도 아니다.
그것은 다름아니라 내가 쓸 말이 없기 때문이다. 아하하하..
생각해보니 정답이었다.
글을 참 잘쓰고 싶은 욕심은 있는데, 쓸꺼리도 없으면서 자꾸 욕심만 많아서..
무엇을 쓰지? 무엇을 쓰지? 궁리만 많이 했던것 같다.
결국엔 쓸꺼리도 없으면서, 자꾸 어떻게 꾸며 쓸지를 고민하게 되니 당연히 글이 잘 안써지는 것이었다.
이런 나의 글쓰기 행태는 이 책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야말로 병신짓 꺼리고 그딴식으로는 글을 쓰지 말아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난 엄청 혼꾸녕이 났다. ㅇㅎㅎ
40여년 한길을 걷으신 선생님의 뚜렷한 주관이 곳곳에 묻어났다. (역시 달인~ )
지금도 이 글을 쓰면서도, 왠지 조목조목 요 대목이 틀려서 이건 이렇게 해야한다.
라고 지적을 받을 것만 같다.
그래도 괜찮다. 일단 지금 이글은 적어도 꾸며낸 이야기가 아니라.
내가 읽고 느낌 글을 쓰는 까닭에 거짓글도 아니고 꾸밈글도 아니다.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말을 써야한다고 이책은 말하고 있다.
입말이란,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이다.
즉, 책에서 말하는 문어체도 아니고, 일반적으로 잘 쓰지 않는 말도 아니고, 고지식한 말도 아닌,..
생활에서 우리가 입밖으로 내어 표현하는 그런 말을 가지고 글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책상머리에 안자서 상상한 이야기보다, 내가 경험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쓰라고 권장하고 있다.
그래야 쓸꺼리가 명확해지고, 가타부타 표현에 가식이 섞이지 않게 되어,
읽는 사람 또한 글을 쉽게 받아들인다고 한다.
그동안 내가 읽었던 논문들이 왜 이렇게 어렵지? 했던 질문들도 그 까닭이 명확해졌다.
그리고 내가 쓴 쓰레기 논문이 참으로 부끄러웠다. 그리고 그 논문을 받아들인 그 학회는 참 안습이다.
(그런데 안습이다. 라는 표현은 쓰지 말아야 한다. ㅎㅎㅎ 그냥 안타깝다 라고 쓰면 된다.)
그리고 잘 읽혀지지 않았던 번역서들도 그 까닭이 명확해졌다.
제발 번역가들아~ 읽는 사람이 알아먹기 쉽게 우리 입말로 좀 써주면 안되냐?
특히, IT 전공서적..-_- 은 번역한 이의 이름을 꼭 확인해봐야 한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여하튼간에 이책은 청소년을 위한 글쓰기 책이었지만,
누구나 한번쯤은 꼭 읽어봄직하다. 강력추천한다!!
책을 빌려준 승렬에게 다시한번 땡큐~

주말 벤쳐

친구랑 주말벤처를 하기로 했다.
학교 다닐때, 그렇게 벤처를 해보고 싶다고.. 입에 달고 살았는데..
이제사 뜻을 모아서 시작을 한다.
거창한건 없다.
그냥 금요일 퇴근하고 일요일 오후 1시까지..
머리 맞대고 궁리하는게 전부..
시작 아이디어는 내가 졸업 작품으로 출품했던 작품을 다시 꺼내어..
다듬는 것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사실 나 조차도 잊고 지냈던 작품인데.. ㅎㅎㅎ
그리고 이건 들은 얘긴데..
스탠포드 대학 출신들은 누구나 벤처를 해보고 싶어한다고 한다.
반면 우리나라 소위 명문 대학 출신들은 누구나 대기업을 가길 희망한다고 한다.
뭐 그냥 그렇다는 얘기다.
그게 잘못됐다는 것도 아니고, 단지 그런 마인드의 차이가 날뿐..
아마도 문화적인 환경적인 배경에서 나온 차이가 아닌가 싶다.  
여튼 간만에 밤새도록 뻘짓하다가 자는구나.
간만에 글쓴다.
자기전에 글하나 더 쓸꺼다!!
왜냐구? 책을 다 읽었으니까..
독후감 써야지..
근데 정말 자기전에 쓸수 있을까?
그냥 내일 일어나자마자 써야겠다.
맥북과 맥프로를 나란히 놓고 쓰는 이 분위기도 괜찮쿤..
잘가라 맥북아~
오늘부터 미투보다 블로그를 더 많이 쓸 작정이다. (과연~ )

제목과 전혀 관계 없는 글…

요즘 미투질 하느라.. 내 블로그임에도 불구하고 오랜만에 방문하는 것 같다.
진짜 요샌 블로그 이렇게 하다간 걍 버리지 싶다.

부지런히 쓰고 싶은데,.. 여유를 찾지 못했다.
먼가 여유가 생기면 바로 일이 치고 들어온다.
각설하고..

오늘의 주제는 Humane Interface 라는 책에서도 언급되었던 내용인데,

본문 내용과 다른 제목

에 대해서다. 혹시, 블로그나 일기를 쓰다가 제목을 무엇으로 할까? 고민을 해본적이 있나?
난 무지하게 많다.

항상 제목이 내용보다 먼저 있기에,.. 제목을 정하고, 글을 쓰다보면,
제목과는 관련 없는 이야기가 되곤한다.
그리고 가끔은 고민도 한다. 무슨 제목으로 하지?
그리고 가끔은 내용이 없는 제목을 쓰기도 한다. (냉무) 이러면서..

아~ 이젠 제목 정하는것도 귀찮아져 버렸다.

낚시글이 많은 게시판

게시판 형태로 목록이 보이는 UI에서는 제목만을 보고, 원하는 글을 찾기에 참으로 유용했다.
하지만, 이제 제목은 더이상 유용하지 않다. (너무나 극단적인가? )
사실 여전히 유용한데.. 제목에 의해 낚이는 경우가 너무나 많아졌다.

특히나, 헤드라인기사,…(네이버의 뉴스캐스트 아주 가관이지…)

뭐 요즘엔 그것뿐인가? 자주 가는 게시판을 봐도 널렸다. 아주..그냥..
더이상 제목만 보고, 내용을 판단해버리는 우둔한 사람은 없지 않을까?

똑똑하고 빠른 검색엔진

그리 오래되지도 않았다. 검색 엔진이라는 놈들이 등장하면서 부터,
인터넷의 이용 형태는 뚜렷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져왔다.
기억하는가?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야후
난 아마 1997년 처음 도서관에서 야후엘 접속했던것 같다..
1992년 내가 처음 컴퓨터를 사고, 1993년 처음 하이텔을 접속했던 그시절이 고작
지금으로부터 15년전쯔음의 일이다.

여튼간이 이런 빠른 변화속에 검색엔진의 등장은..
나로 하여금 더더욱 제목의 필요성에 물음표를 던지게 한다.

이젠 태그만 달아도 될꺼같다. 

굳이 제목이 필요할까?
이 글도 마찬가지…

요새 내가 즐겨쓰는 미투데이는 딱! 내가 하고자 하는 얘기와 맞물린다.

트위터도 마찬가지..(개인적으로 트위터는 어렵다 @.@  영어라서 그런가?..)

쓰여지는 글들이 많을수록,… 지난간 내글들의 향수를 느끼기 위해, 처음부터 하나둘 다시 읽는 경우도 있고,
가끔은 내가 쓴 내글을 내가 검색해서 볼때도 있다.
절대로 제목을 보고 찾는 경우가 없다.
물론 찾는 경우라면, 한번 검색한 이후.. 제목을 보는거다.

이런경우는 어떨까?

제목은 없고. 내용만 있는글..
제목은 특별히 없어도 되겠다. 그냥 글의 서두 20여자를 걍 제목으로써 보여주면 되지 않나 하는거다..
UI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제목으로 표현되는 글자수를 조절할수도 있겠다.
마치 본문 요약형 미리보기 정도쯤 되지 않을까 하는데..
그래서,.. 결론은 하나 만들어보고있다.
태그 기반의 제목이 없는 게시판..
프로젝트 기반이 갖춰지면.. 오픈소스로 갈아탈 예정이다.
커밍순~!